본문 바로가기
글쓰기강좌

‘가닥을 잡다’의 뜻과 용례

by 아직은여름 2025. 1. 13.
반응형

1. ‘가닥을 잡다’의 뜻

‘가닥을 잡다’는 어떤 일이나 상황의 실마리나 방향을 파악하여 해결의 단서를 찾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복잡하거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하거나 계획의 윤곽이 드러났을 때 쓰입니다.

 

2. 용례

(1)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때

  • “프로젝트가 복잡했지만, 회의를 통해 문제의 가닥을 잡을 수 있었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해결책의 실마리를 찾았다는 뜻)
  • “이제 사건의 진상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가닥을 잡아 가는 중이다.”
    (사건 해결의 단서를 파악하고 있다는 의미)

(2) 계획이나 방향을 설정할 때

  • “초반에는 어려웠지만, 연습을 거듭하니 어느 정도 가닥을 잡게 됐다.”
    (연습을 통해 방향을 파악했다는 뜻)
  • “사업 계획의 가닥을 잡기 위해 시장 조사를 철저히 했다.”
    (사업의 윤곽을 잡기 위해 준비했다는 의미)

(3) 비유적 표현

  • “마음이 복잡했는데 친구와 대화하면서 생각의 가닥을 잡았다.”
    (혼란스러운 생각이 정리되었다는 뜻)
  •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 이야기가 확실히 가닥을 잡았다.”
    (이야기의 방향이 분명해졌다는 의미)

3. 유사 표현

  • 실마리를 찾다: 문제 해결의 단서를 발견하다.
  • 윤곽을 잡다: 일의 대략적인 흐름이나 방향을 파악하다.
  • 방향을 설정하다: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정하다.

4. 사용 시 유의점

‘가닥을 잡다’는 대체로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 혼란스럽거나 복잡했던 상황이 정리되었음을 강조할 때 적합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진전이 있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