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강좌

‘가리산’의 뜻과 용례

by 아직은여름 2025. 1. 13.
반응형

‘가리산’의 뜻

‘가리산’은 옳고 그름, 이익과 손해, 혹은 경중(輕重)을 따져 분별하거나 판단하는 일을 의미합니다. 이는 판단력이나 분별력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선택이나 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뜻합니다.

 

용례

(1) 판단력을 강조하는 경우

  • “가리산을 잘해야 중요한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적절한 판단을 내려야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는 의미)
  • “사업에서는 냉철한 가리산이 필요하다.”
    (사업에서는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뜻)

(2) 분별력을 부족하다고 비판하는 경우

  • “그는 항상 가리산이 부족해서 실수를 반복한다.”
    (판단력이 부족해 자주 실수하는 사람을 비판)
  • “이럴 때는 가리산 없이 성급히 결정하면 안 된다.”
    (판단 없이 서두르면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경고)

(3) 이익과 손해를 따지는 경우

  • “투자할 때는 수익과 위험을 잘 따져 가리산을 해야 한다.”
    (투자의 이익과 손실을 판단해야 한다는 의미)
  • “가리산을 해 보니 이쪽 거래가 더 이익이다.”
    (이익과 손해를 따져 본 결과 한쪽이 더 유리함)

비슷한 표현

  • 사리 판단: 이치에 맞는 분별과 판단.
  • 이익과 손해를 따지다: 어떤 행동이나 결정이 가져올 결과를 분석하다.
  • 분별력: 옳고 그름을 가려내는 능력.

사용 시 유의점

‘가리산’은 주로 판단의 중요성이나 판단력 부족에 대한 비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맥락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뉘앙스로 모두 쓰일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