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아이야기

치기공재료학 3D프린팅 재료의 장단점과 특징

by 아직은여름 2025. 2. 2.
반응형

치아기공에서 사용하는 3D 프린팅 재료의 모든 것 🦷✨

최근 치과기공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존의 석고 및 왁스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을 이용하면 정밀도가 높은 보철물과 치과 기공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환자 맞춤형 보철물 제작이 더욱 용이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3D 프린팅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전문적으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3D 프린팅 재료의 기본 특성

1-1. 3D 프린팅 재료의 요구 조건

치과 보철물 및 기공 작업에 적합한 3D 프린팅 재료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필요합니다.

정확성(Accuracy): 치아 및 보철물의 세부 구조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어야 함.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 구강 내에서 사용 시 인체에 무해해야 함.
강도(Strength)와 내구성(Durability): 보철물로 사용될 경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해야 함.
내화학성(Chemical Stability): 타액, 음식물, 세정제 등과 접촉해도 변형되지 않아야 함.
심미성(Esthetics): 치아 색상과 유사한 자연스러운 색상이 구현 가능해야 함.
적절한 경화 속도(Curing Time): 프린팅 후 후처리(Post-processing) 시간이 너무 길지 않아야 함.

 

2. 3D 프린팅 기술별 사용되는 재료

치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팅 기술은 크게 **광경화 방식(SLA, DLP, LCD)**과 **분말 기반 방식(SLS, DMLS)**으로 나뉩니다.

3D 프린팅 방식 사용되는 재료 주요 용도

SLA (Stereolithography) 광경화성 레진 (Resin) 크라운, 브릿지, 임시 보철물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광경화성 레진 (Resin) 교정 모델, 임시 보철물, 수술 가이드
LCD (Liquid Crystal Display) 광경화성 레진 (Resin) 임플란트 가이드, 틀니 베이스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폴리머 분말 (Nylon, PMMA) 교정 장치, 임시 크라운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금속 분말 (Co-Cr, 티타늄)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프레임

 

3. 3D 프린팅 재료의 종류

3-1. 광경화성 레진 (Photopolymer Resin)

✅ 특징

  • SLA, DLP, LCD 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사용됨.
  • UV 또는 LED 광을 이용해 단단하게 경화됨.
  • 다양한 특성(강도, 유연성, 생체 적합성)을 가진 제품이 존재함.

✅ 종류

1️⃣ 임시 보철용 레진 (Temporary Crown & Bridge Resin)

  • 임시 크라운, 브릿지 제작을 위한 재료.
  • 색상 및 투명도가 치아와 유사함.
  •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장기간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음.
  • 사용 용도: 임시 크라운 & 브릿지, 교합 검사

2️⃣ 교정 모델용 레진 (Orthodontic Model Resin)

  • 교정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위한 모델 제작에 사용됨.
  • 정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함.
  • 사용 용도: 교정 모델, 스터디 모델

3️⃣ 수술 가이드용 레진 (Surgical Guide Resin)

  •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제작에 사용됨.
  • 높은 정밀도를 가지며, 멸균이 가능해야 함.
  • 사용 용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교정 스플린트

4️⃣ 틀니 베이스용 레진 (Denture Base Resin)

  • 의치(틀니) 베이스 제작에 최적화된 레진.
  • 강도가 높고 구강 내 장기 사용이 가능해야 함.
  • 사용 용도: 디지털 틀니 제작

3-2. 금속 분말 (Metal Powder)

✅ 특징

  • DMLS(Direct Metal Laser Sintering) 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사용됨.
  • 고온에서 레이저를 이용해 금속 분말을 소결하여 보철물을 제작함.
  • 강도가 뛰어나며,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함.

✅ 종류

1️⃣ 코발트-크롬 합금 (Cobalt-Chromium, Co-Cr Alloy)

  • 크라운 & 브릿지, 금속 틀니 프레임 제작에 사용됨.
  • 기존 주조 방식보다 정밀도가 높고, 가공 과정이 단축됨.
  • 사용 용도: 금속 크라운, 브릿지, 틀니 프레임

2️⃣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Titanium & Titanium Alloy)

  •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 임플란트 및 맞춤형 골격 프레임 제작에 사용됨.
  • 가볍고 강도가 높아 정밀한 가공이 가능함.
  • 사용 용도: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골격 프레임

3-3. 폴리머 분말 (Polymer Powder)

✅ 특징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사용됨.
  •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함.

✅ 종류

1️⃣ 나일론 (Nylon, PA - Polyamide)

  • 내구성이 강하고 유연성이 있어 교정 장치 제작에 적합함.
  • 사용 용도: 교정용 모델, 스플린트

2️⃣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 보철물 제작에 사용됨.
  • 사용 용도: 임시 크라운, 브릿지

 

4. 3D 프린팅 재료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 정확성: 크라운 & 브릿지, 임플란트에는 고정밀 레진 또는 금속 분말이 필요함.
📌 생체 적합성: 장기 사용될 보철물(예: 틀니, 임플란트)에는 생체 적합성이 높은 재료를 선택해야 함.
📌 강도 및 내구성: 임시 보철물은 강도가 적당해야 하고, 금속 프레임은 고강도가 필수적임.
📌 제작 방식: SLA, DLP, SLS 등 프린팅 방식에 따라 적합한 재료를 선택해야 함.
📌 후처리 과정: 일부 레진은 후경화(Post-curing) 과정이 필요하며, 금속은 추가 가공이 필요할 수 있음.

 

마무리 🦷💡

3D 프린팅 재료는 보철물, 교정 장치, 수술 가이드 등 치과 기공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밀한 보철 제작을 위해 각 3D 프린팅 재료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