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과직업

색채의 학문적 분류 체계, 색깔 종류 목록

by 아직은여름 2025. 4. 5.
반응형

🎨 색채의 학문적 분류 체계

색채(color)를 학문적으로 분류할 때는 단순히 '색 이름' 이상의 체계적인 기준이 필요합니다. 색채학(color science 또는 color theory)에서는 물리적 성질, 지각적 특성, 심리적 효과,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색을 분류합니다. 아래에 색채를 학문적으로 나누는 주요 기준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색의 3속성 (Three Attributes of Color)

색을 가장 기본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색은 이 세 가지 속성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색상(Hue)
    : 빨강, 파랑, 노랑 등 색의 종류를 말합니다. 스펙트럼상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며, '무슨 색인가'를 나타냅니다.
  • 명도(Value 또는 Brightness)
    :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입니다. 흰색에 가까울수록 밝고,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어둡습니다.
  • 채도(Saturation 또는 Chroma)
    : 색의 맑고 탁한 정도입니다. 채도가 높을수록 선명하고, 낮을수록 흐릿하거나 회색빛을 띱니다.

예: '연한 하늘색'은 파란색(Hue)이면서, 명도는 높고, 채도는 낮은 색입니다.

2. 색의 속성에 따른 분류

  • 무채색(Achromatic colors)
    : 색상이 없는 색 → 흰색, 회색, 검정 등
    (채도 없음 / 명도만 존재)
  • 유채색(Chromatic colors)
    : 색상이 있는 색 → 빨강, 파랑, 초록 등
    (색상, 명도, 채도 모두 포함)

3. 색상환 (Color Wheel) 분류

색상들을 원형 구조로 배열한 것으로, 색 관계(보색, 유사색 등)를 이해할 때 사용합니다.

  • 기본색(Primary Colors)
    • 가산혼합(RGB): 빨강(R), 초록(G), 파랑(B) → 빛의 3원색
    • 감산혼합(CMY): 빨강, 노랑, 파랑 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 인쇄의 3원색
  • 2차색(Secondary Colors)
    : 기본색을 혼합하여 만든 색 (예: 파랑 + 노랑 = 초록)
  • 3차색(Tertiary Colors)
    : 기본색과 2차색을 섞어 만든 색
  • 보색(Complementary Color)
    : 색상환에서 마주보는 색. 대비가 강함. (예: 파랑 ↔ 주황)

4. 온도에 따른 분류 (Color Temperature)

  • 따뜻한 색(Warm colors)
    : 빨강, 주황, 노랑 등 → 에너지, 열정, 활동적
  • 차가운 색(Cool colors)
    : 파랑, 초록, 보라 등 → 차분함, 안정감, 신뢰감

색 온도는 심리적 반응뿐 아니라 조명, 인테리어, 광고에 실질적 영향을 줍니다.

5. 계조(Tone) 또는 명도·채도에 따른 분류

톤(Tone): 색상은 같지만, 명도와 채도에 따라 느낌이 달라집니다. 색을 12가지 톤으로 나누는 ‘톤 분류법’(Tone classification)도 존재합니다.

톤 구분 특징
브라이트톤 밝고 맑은 색 (예: 연한 하늘색)
라이트톤 밝고 탁한 색 (예: 크림색)
소프트톤 중간 밝기와 채도 (예: 모카색)
딥톤 어둡고 선명한 색 (예: 버건디)
더스크톤 어둡고 탁한 색 (예: 카키, 차콜)

6. 심리적/상징적 분류

색은 문화나 개인의 경험에 따라 심리적 의미를 가집니다. 색은 신화나 문학 등에서 강렬할 상징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색상 상징/연상 감정 반응
빨강 열정, 에너지 자극, 흥분, 위험 경고
파랑 신뢰, 안정 차분함, 냉정, 슬픔
노랑 희망, 창의성 기쁨, 불안
초록 자연, 회복, 균형 안정감, 평화
보라 신비, 고귀함 창의성, 직관, 영성
분홍 사랑, 부드러움 위안, 애정, 유대감
검정 권위, 고요, 슬픔 중압감, 세련됨
흰색 순수, 청결 가벼움, 시작, 깨끗함

7. 문화적·사회적 분류

  • 동양 vs 서양 색 상징이 다름
    예: 서양에서 흰색은 순수, 동양에서는 장례색
  • 종교, 시대, 정치, 브랜드 이미지 등도 색채 해석에 영향

8. 색채 시스템에 의한 분류

  • Munsell 색체계: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체계적 분류
  • NCS(Natural Color System): 인간의 지각 중심 색채 체계
  • PANTONE: 인쇄·디자인 업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색 기준 시스템

✅ 요약

색채는 단순히 보기 좋은 '색깔'이 아니라, 물리학, 생리학, 심리학, 문화학 등 다양한 분야가 얽힌 복합적 학문 대상입니다. 색을 학문적으로 나눌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들이 활용됩니다

  • 색상 / 명도 / 채도
  • 유채색 vs 무채색
  • 따뜻한 색 vs 차가운 색
  • 감정적, 상징적 의미
  • 문화적 맥락
  • 과학적 색체계(PANTONE, Munsell 등)

 

아래는 색채 심리학에서 자주 다루는 색의 종류를 정리한 것입니다.

🎨 색채 심리학 색상 목록

  1. 빨간색 (Red)
  2. 주황색 (Orange)
  3. 노란색 (Yellow)
  4. 초록색 (Green)
  5. 연두색 (Light Green)
  6. 청록색 (Teal)
  7. 파란색 (Blue)
  8. 하늘색 (Sky Blue)
  9. 남색 (Navy)
  10. 보라색 (Purple)
  11. 자주색 (Violet)
  12. 연보라색 (Lavender)
  13. 인디고색 (Indigo)
  14. 분홍색 (Pink)
  15. 연분홍색 (Light Pink)
  16. 핫핑크 (Hot Pink)
  17. 살구색 (Apricot)
  18. 코랄색 (Coral)
  19. 피치색 (Peach)
  20. 베이지색 (Beige)
  21. 크림색 (Cream)
  22. 아이보리색 (Ivory)
  23. 회색 (Gray)
  24. 연회색 (Light Gray)
  25. 진회색 (Dark Gray)
  26. 차콜색 (Charcoal)
  27. 갈색 (Brown)
  28. 진갈색 (Dark Brown)
  29. 밤색 (Maroon)
  30. 버건디색 (Burgundy)
  31. 올리브색 (Olive)
  32. 카키색 (Khaki)
  33. 머스타드색 (Mustard)
  34. 민트색 (Mint)
  35. 에메랄드색 (Emerald)
  36. 청동색 (Bronze)
  37. 금색 (Gold)
  38. 은색 (Silver)
  39. 검은색 (Black)
  40. 흰색 (White)
  41. 연노랑색 (Pale Yellow)
  42. 황토색 (Ochre)
  43. 연주황색 (Light Orange)
  44. 회갈색 (Taupe)
  45. 파우더블루 (Powder Blue)
  46. 로즈색 (Rose)
  47. 스칼렛색 (Scarlet)
  48. 루비색 (Ruby)
  49. 사파이어색 (Sapphire)
  50. 말차색 (Matcha Green)

원하시면 이 색상들을 톤별 분류(파스텔톤, 뉴트럴톤, 선명한 색 등)이나 심리적 반응별 색 분류, 또는 Munsell / PANTONE 기준 색상 체계로도 나눠서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필요하신 형식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반응형